미국주식 배당주 schd vs jepi 비교 : 장기투자에 유리한 배당주는?
by seonil
SCHD vs JEPI ETF 비교
- 배당률
- SCHD(Schwab US Dividend Equity ETF) : 일반적으로 3-4% 수준의 배당률.
- JEPI(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) : 일반적으로 7-9% 수준의 높은 배당률. - 성장성
- SCHD : 배당 성장에 중점을 둠. 배당금이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들에 투자.
- JEPI : 소득 창출에 중점을 둠. 옵션 전략을 통해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지만, 성장 잠재력은 SCHD보다 제한적일 수 있음. - 안정성
- SCHD : 재무적으로 건전하고 배당 지급 역사가 긴 기업들에 투자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.
- JEPI : 옵션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 하락 시 SCHD보다 변동성이 낮을 수 있음. - 투자 전략 차이
- SCHD : 순수 배당주 ETF로, 배당 성장 기업에 직접 투자.
- JEPI : 주식과 옵션 전략을 혼합한 ETF로,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추가 수익 창출.
★ 결론
- 배당률 중시 : JEPI가 더 높은 배당률 제공
- 장기 성장 중시 : SCHD(일명, 슈드)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.
- 안정성 중시 : 두 ETF 모두 장점이 있으나, 시장 하락 시 JEPI가 변동성 측면에서 더 방어적일 수 있음.
JEPI가 변동성 측면에서 더 방어적이라는 의미는?
JEPI는 주식 포트폴리오와 함께 커버드 콜 옵션 전략을 사용합니다. 이 옵션 전략은 시장이 하락할 때 일종의 쿠션역할을 합니다. 즉, 주식 시장이 급락할 때 JEPI는 일반 주식 ETF보다 덜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이것이 '방어적'이라는 의미입니다. = 하락장에서 손실을 줄여주는 특성을 가집니다.
그렇다면 상승장에서는? JEPI의 시장 회복속도
JEPI는 시장 하락 후 회복이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습니다.
커버드 콜 옵션의 영향으로 JEPI는 보유한 주식에 대한 콜 옵션을 판매하여 추가 수익을 얻습니다. 하지만 이 전략은 주가가 급등할 때 상승 수익의 일부를 제한합니다.
JEPI는 떨어지는 하락장에서는 방어적이지만(덜 떨어진다), 강한 상승장에서는 덜 올라가는 특성이 있어 회복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.
SCHD가 장기보유에 더 적합한 이유?
- 배당금 성장
- SCHD는 배당금이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들에 투자합니다. 장기적으로 배당금 성장률이 인플레이션을 상회하는 경향이 있어 실질 구매력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. - 복리 효과 극대화
- 배당 성장주에 투자하는 SCHD는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 효과가 더 커집니다. 초기에는 배당률이 JEPI보다 낮지만, 장기적으로는 배당금 재투자와 배당금 성장으로 인한 복리 효과가 더 강력해집니다. - 상승장 참여도
- SCHD는 시장 상승기에 더 큰 자본 이득 가능성이 있지만, JEPI는 옵션 전략으로 인해 강한 상승장에서 수익이 제한됩니다. - 트랙 레코드
- SCHD는 2011년에 출시되어 더 긴 운용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.
- JEPI는 2020년에 출시되어 상대적으로 짧은 트랙 레코드를 가지고 있습니다. - 비용 효율성
- SCHD의 운용 비용은 0.06%로, JEPI의 0.35%보다 낮습니다. 장기 투자에서는 이 비용 차이가 복리로 인해 상당한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.
★결론
JEPI는 현재 높은 배당 수익을 원하고, 변동성을 줄이고자 하는 투자자(예 : 은퇴자)에게 더 적합합니다. 큰 하락장에서 다시 상승장으로 왔을 때 상승률이 낮기 때문에 장기 투자로 복리효과를 노리는 투자자들에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JEPI는 장기투자용이 아니라, 횡보-약상승장에 보유하고 있다가 하락장에서는 매도 후 재진입하는 편이 좋습니다.
SCHD는 10년 이상의 장기 투자 관점에서 JEPI보다 더 적합한 선택입니다. 배당금 성장과, 상승장에서의 상승률, 검증된 트랙 레코드가 장기 볼리 성장에 더 유리합니다.
'경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은행 외화통장에서 키움증권으로 달러 이체하기 (0) | 2024.11.19 |
---|---|
주식 차트에 평균매입가 표시하기 : 내가 얼마에 주식매수했나 (0) | 2024.11.17 |
1929 경제 대공황 당시 월 스트리스 배경의 소설 '트러스트' (0) | 2024.11.14 |
삼성전자 주식 마이너스 몇프로?? 매도 안하는 이유 (0) | 2024.11.12 |
국민은행 외화정기예금 만기이자 확인과 해지 방법 (0) | 2024.11.11 |
블로그의 정보
기록저장소
seonil